배재학당을 설립한 아펜젤러 선교사
아펜젤러 (Henry Gehard Appenzeller, 1858-1902)목사는 미국북감리회가 파송한 최초의 내한 선교사였다. 그는 그의 부인과 미국 북장로교회의 파송을 받은 언더우드선교사와 함께 1885년 4월 5일 부활절 오후3시에 제물포에 도착하였다. 아펜젤러 부부는 갑신정변으로 한양의 치안이 불안하자 며칠간 체류하다가 일본으로 되돌아 갔다가 7월 9일에 재입국했다.
Corea:Hermit Kingdom이란 9판이나 간행된 한국사를 저술한 그리피스(William Elliot Griffis, 1843-1928)는 아펜젤러를 “한국 복음의 개척자”, “한국인의 사도”라고 예찬했다. 아펜젤러는 정동제일감리교회(貞洞第一監理敎會)와 근대 교육의 요람인 배재학당(培材學堂)을 설립하여, 구한말(舊韓末) 선교와 교육부분에 있어 큰 공적을 남겼다.
그는 1858년 2월 6일 미국 펜실베니아(Pennsylvania)주 서더튼(Souderton)에서 스위스계인 부친 기드온 아펜젤러(Gideon Appenzeller)와 독일계인 모친 마리아 게르하르트(Maria Gerhart) 사이에 3형제 중 둘째로 태어났다. 메노나이트(Mennonites) 출신 어머니의 경건한 신앙심과 복음주의 신앙의 가정 분위기 속에서 어려서부터 경건한 신앙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십계명, 주기도문, 사도신경은 물론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을 줄줄 암송할 만큼 신앙 훈련과 경건의 훈련을 받았다.
아펜젤러의 자기 체험적 영적인 생활은 14살이 되던 1872년 11월 12일 임마누엘 개혁교회에서 피터 피셔(Peter S. Fisher) 목사에게서 세례를 받고 나서였다. 18세가 되던 1876년에는 중생, 회심의 체험을 했다. 웨스트체스터 사범학교(West Chester State Normal School)를 다니고 있을 때 한 특별집회를 통해 하나님의 은총에 대한 큰 감격을 느꼈다. 기독교의 복음을많은 사람에게 전하기로 마음을 먹고 그 학교에서 기도회를 조직하여 활동했다. 나중에는 웨스트체스터의 YMCA의 회원도 되었다.
20세 되던 1878년 필라델피아(Philadelphia)주 서부에 위치한 독일계 개혁교회의 교육기관인 프랭클린과 마샬대학(Franklin and Marshal College)에 입학하여 고대 그릭, 라틴, 히브리어를 비롯한 고전학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였다. 현대어도 여러 언어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어 다수의 언어를 구사하게 되었다.
아펜젤러는 1879년 당시 랭카스터(Lancaster)의 제일감리교회(The First Methodist Church)에서 신앙생활을 하던 중 영적인 생명력 있는 작은 모임에서 깊은 인상을 받아 선교사가 되기로 마음을 먹었다. 1879년 4월 20일 감리교회에 정식으로 등록도하였다. 1882년 대학을 졸업한 뒤, 작심한대로 선교 사업에 헌신하기 위해 뉴저지주 매디슨(Madison, N.J.)에 있는 드류신학교(Drew Theological Seminary)에 입학하였다. 하나님의 종으로서의 소임을 다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신의 인품과 학업 연마에 열중하였다. 감리교회 전통의 부흥신학과 드류 신학교의 신학적 학풍에 대하여 토론하였고 교회 일에도 최선을 다하였다.
드류신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그는 감리교회 외국선교회에다 조선(朝鮮)의 선교 사업에 헌신할 뜻을 밝혔으며, 1884년 크리스마스 주간에 북감리고해외선교부로 부터 임명을 받게 되었다. 아펜젤러가 엘라(Ella Dodge Appenzeller)와 막 결혼한 무렵이었다.
1885년 1월에 드류신학교를 졸업한 아펜젤러는 샌프란시스코에서 파울러(C. H. Fowler) 감독에게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마침내 조선선교사로 1885년 2월 3일 장도에 올랐다. 퍼시픽 메일(the Pacific Male)의 아라빅 호(Arabic)를 타고 아내와 윌리엄 스크랜튼 박사(William B. Scranton, 施蘭敦, 1856-1922) 부부, 스크랜튼 대부인(Mary Fletcher Scranton, 1832-1909)과 함께 출발하였다. 일본(日本)에서는 각자 여정을 달리하였다.
아펜젤러부부는 부산(釜山)을 거쳐 미츠비시(三菱) 배편으로 1885년 4월5일 제물포(濟物浦)에 도착하면서 다음과 같이 기도했다.
우리는 부활절에 이곳에 도착했다. 이날 사망의 빗장을 산산이 깨뜨리시고 부활하신 주께서 이 나라 백성들이 얽매여 있는 굴레를 끊으시어 그들에게 하나님의 자녀가 누리는 빛과 자유를 허락해 주옵소서!
그러나 조선의 정국은 불안했다. 1884년 12월에 발생한 김옥균, 서재필등이 주동이 된 갑신정변(甲申政變)은 3일 천하로 끝났지만 정치적 불안은 지속되었다. 미국 공사 폴크(G. C. Foulk)는 아펜젤러 부부에게 일본에 좀 더 체류하도록 권유했다. 부부는 일본으로 돌아갔다가 같은 해인 1885년 7월 19일 서울에 도착했다.
아펜젤러 목사 선교사의 조선 내에서의 주요 활동과 업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재학당의 창설(1886. 6. 8)을 예시할 수 있다. 배재학당은 고종(高宗, 1852-1919)이 지어준 이름으로 정부의 정식인가를 받아 당시 국영인 육영공원(育英公院, 1886-1894)과 함께 공인(公認) 교육기관으로 설립된 한국 역사상 최초의 근대식 교육기관 중 하나이다. 아펜젤러 목사는 기독교에 입각한 교육을 위한 배재학당의 창설을 위해, 당시 외무협판(外務協辦) 벼슬에 있던 청(淸)나라 정치고문인 뮐렌도르프(Paul George von Möllendorff, 穆麟德, 1848-1901)가 제안한, 상대적으로 처우가 좋던 국영교육기관인 육영공원의 교수자리를 거절하기도 하였다.
아펜젤러 목사는 “통역관을 양성하거나 우리 학교의 일꾼을 가르치려는 것이 아니라, 자유의 교육을 받은 사람을 내보내려는 것이다”라고 배재학당의 설립목적을 밝혔고, ‘욕위대자 당위인역(欲爲大者當爲人役)’이라는 학당 훈(訓)을 내걸었다. 그리스도교인과 국가 인재양성을 위하여 일반 학과를 가르치는 외에, 연설회·토론회 등을 열고 사상과 체육 훈련에 힘을 쏟았다.
최초의 학생은 2명의 고아였다. 양반들은 서양 오랑캐의 교육을 하찮게 여겼다. 대상으로 시작하여 1887년 새 교사를 짓기 시작하여 1888년에 완공하게 되었다. 조선 최초의 르네상스식 벽돌 건물이었다. 배재학당이라는 칭호와 현판은 1887년 2월 고종이 하사했다. 전도는 불허했지만 교육은 인정한 것이 되었다.
이처럼 개교 첫해 동안에 하나님의 성령께서 학생들 가운데서 구원사역을 시작하셨다. 하나님께 모든 찬양을! “유용한 인재”는 갈보리에서 돌아가신 주의 피로써 구원받지 않고는 “양육”될 수 없다. 다른 학생들은 길을 묻고 있는 중이다. 우리의 기도와 심령의 소원은 이 학교를 특별한 영적인 힘이 넘치는 학교로 만드는 것이다.
아펜젤러 목사가 세운 배재학당에서는 영어, 중국고전, 서구의 과학과 문학 등을 남학생 대상으로 가르쳤다. 또한 북감리회 선교부는 스크랜턴 대부인과 그가 참여하여 세운 이화학당에서는 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였다. 안방에서 여자를 이끌어 내어 남녀 차별을 끊는 동력이 되었다. 실제로 여성의 지위향상의 첫걸음이 되었다.
배재학당을 통해 이승만(李承晩, 1875-1965)을 비롯한 수많은 독립운동가와 민족지도자들이 배출되었다. 일례로 당시 크게 무시당하던 천민 백정인 박성춘(朴成春)의 아들 박서양(朴瑞陽, 1885-미상)을 입학시켰다. 박서양은 이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에 진학하여, 1908년 1회 졸업생이 되었으며, 이후 만주(滿洲)에서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다.
둘째, 한국감리회 최초의 정동제일감리교회의 설립이다. 아펜젤러 목사는 1885년 조선에 도착한 이래 지속적인 전도여행을 전개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선교활동 속에서 “믿는 자들의 모임”인 교회운동이 성숙되어 갔다. 그리하여 언더우드와 함께 암암리에 1885년 10월 11일 한국 개신교 최초의 성찬식이 거행되었다.
나아가 1887년 9월에는 마침내 아펜젤러목사가 정동에 부지를 매입하여 하나님의 집이란 뜻의 ‘벧엘예배당’이라고 칭하였으며, 10월 9일에 첫 예배를 드렸다. 10월 23일 한국인이 참석한 감리교 최초 성찬예식에 대해 그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일주일 후 10월 23일 우리는 한국에서 감리교 최초의 성찬예식을 가졌다. 이것은 감리교의 요람인 벧엘의 같은 방에서 있었다. 참석자는 형제들로서 최, 장, 강, 한씨 등과 최씨의 아내였는데, 한 사람 박 형제는 불참하였다. 스크랜튼 의사도 동참했다. 우리의 기도문을 사용했고, 모두 경건하고 진지한 예식이었다. 이렇게 생명의 떡을 이 백성에게 떼어 주다니 오, 얼마나 큰 은혜인가. 감사함으로 우리 모두의 마음이 그 떡을 먹고 살아가게 하옵소서.
선교의 자유가 완전하게 허락되지 않은 상태에서 벧엘 교회는 1888년 3월 11일 주일에는 14명이 모여 예배를 드렸다. 비록 영어로 진행된 것이긴 하지만 이무렵 주일학교도 아펜젤러 목사의 집에서 30분간 인도되었다. 이 때 스크랜튼 대부인(Mary Fletcher Benton Scranton, 1832-1909)이 주관한 여성들을 위한 저녁예배도 시작되었다. 이는 최초의 부인예배로서 첫째 날에 21명이 참석했다. 아펜젤러 목사는 이를 두고 “이처럼 주께서 우리의 수고와 그의 영광스러운 사역의 번창 함에 함께 하신다”고 기록했다.
미 북감리교 선교부의 1894년 연례보고서에 의하면 준교인 106명, 정교인 48명으로 불어났으며, 정동과 이화학당 구역에서 남녀가 각각 따로 모여 예배드리는 회중을 합치면 200명이나 되어 예배당 신축문제가 제기되게 되었다. 이에 1895년 8월 7일 기공식이 진행되었으며, 9월 9일 초석을 놓은 바, 아펜젤러 목사는 기부금 일람표를 작성하여 윤치호(尹致昊, 1865-1945)에게 150달러, 그 부인에게 50달러를 요청하였으며, 그 해 8월 8일까지 한국인으로부터 113.53원을, 외국인으로부터 1,069.11원을 기부 받았다. 그는 이 때 교회의 영어 이름을 “The First Methodist Episcopal Church"라 하기로 하고 한문과 한글의 경우는 윤치호에게 부탁하였는데, 진행과정에서 최대의 난제는 역시 기금의 부족이었다.
그러나 간절한 기도와 도움의 간구 속에 1897년 10월 3일 새 예배당에서 첫 예배를 드렸고, 12월 26일에 봉헌식이 거행되었으나 완공된 것은 1898년 10월이었다. 이 건물 완공 당시 주한 미국 공사로 있던 알렌(Horace Newton Allen, 安連, 1858-1932)은 이 건물에 대하여 이렇게 썼다.
아펜젤러 목사는 미국공사관 건너편에 적당한 교회건물을 짓기로 마음먹었다. 그는 이 일에 역시 성공하였다. 모퉁이에 작은 탑이 있고 일반 민가와 같이 생긴 이 멋진 벽돌 건물은 외국인 지역에 발전된 모습을 더해 준 굉장한 것이었다. 이것은 감리교 학교(배재)의 멋진 벽돌 건물, 그리고 미국 공사관 반대편의 언덕 위에 솟아 있는 감리교 출판소처람 이 사람의 열정어린 노력과 지칠 줄 모르는 추진력을 기념하는 하나의 비석처럼 우뚝 서 있다.
셋째, 중국으로부터 독립운동의 적극 지원이다. 아펜젤러 목사는 1895년 협성회(協成會)를 조직하고 서구식 의회법 시행을 제일 먼저 주장하였으며 벙커(Dalzell A. Bunker, 1853-1932)와 함께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을 도왔다.
초기 협성회는 배재학당 학생회에 해당되는 학생 단체로 출발하였으나, 이후 일반인을 회원으로 받아들이고 지방 조직이 결성되면서 사회운동 단체로 발전해갔는데, 서재필(徐載弼, 1864-1951)의 사상을 지지하며 근대식 제도 도입과 정치 개혁을 통한 입헌군주제 실시 등을 주장했다. 결성 1년 만에 회원 수가 200명이 넘어서는 등 성황을 이루었고, 서재필이 《독립신문》에 회원들의 글을 게재하여 이들의 활동을 도와주기도 했다.
1898년부터는 주간지로 《협성회회보》를 발간하였다. 이 잡지는 한국 최초의 시간주간지였다. 협성회의 토론회와 출판 활동은 개화기의 민족의식과 계몽사상(啓蒙思想)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재필을 중심으로 독립협회(獨立協會, 1896-1898)와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가 탄생하는 진원지가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수구파의 역모 공작으로 1898년 독립협회는 해체되었다. 중요한 인물들이 한성감옥에 투옥되었다. 당시 아펜젤러를 비롯한 선교사들은 감옥을 순례하며 구호와 전도활동을 하였다. 선교사들과 힘을 모아서 한성감옥 수감자들의 처우 개선을 요구하였고 무엇보다 글을 읽을 줄 아는 식자층이라 각종 서적을 투입했다. 결국 이들의 요구는 받아들여져서 그들은 자유롭게 차입도 하고 전도도 할 수 있게 되었다.
한성감옥에서 이승만은 배재학당에서 영어만 배웠던 것을 회개하고 기독교로 회심하였다. 감옥에서 독서와 저작에도 힘을 기울여 후에 미국서 출판한 《독립정신》도 저술했다. 이러한 일을 통해 이 때 까지의 서민층이 교인들이었으나 이상재(李商在, 1850-1927), 이원긍(李源兢, 1849~?), 안국선(安國善, 1878~1926) 등 12명의 고관 출신 양반과 선비들이 최초로 예수를 믿게 되어 이후 이들은 초기 기독교인으로서 중요한 사역을 감당하였다.
넷째, 성경 번역사업과 '조선그리스도인 회보'를 순 한글로 창간(1897.2)하여 당시 한문(漢文)위주의 사회에서 언문일치와 띄어쓰기를 실행하며 한글을 장려하고 교회 뿐 아니라 일반 사회에 계몽하면서 복음을 전했다. 이밖에도 마가 복음서를 번역하고,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 元杜尤, 1858-1916), 헤론(John W. Heron, 惠論, 1857-1890), 스크랜튼 등과 성서번역위원회를 조직(1890)하여 성서 번역 진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한편, 아펜젤러 목사는 1888년에 1월 배재학당 내에 한(韓), 중(中), 영(英)의 삼국어로 인쇄할 수 있는 출판사인 삼문 출판사(三文出版社, Trilingual Press)를 설립하여 신문, 잡지 등을 출판하였다. 한국의 현대식 인쇄 시설의 효시였다. 기독교 주간지인 「코리언 크리스천 애드보케이트」(The Korean Christian Advocate)와 영문월간지인 「코리언 리포지토리」(Korean Repository)는 폐쇄적인 한국 사회를 국제 사회에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오늘날 ‘한국학’의 고전적 일차사료가 되었다.
1896년부터는 서재필의 독립신문(獨立新聞)을 인쇄하면서 편집에 도움을 주었으며 1897년에는 한글로 된 최초의 종교 신문인 「죠션 그리스도인회보」를 창간해 선교사업 외에 민족 계몽운동에도 힘썼다. 1900년까지 25만권의 서적을 인쇄, 출판하였고 배재학당, 이화학당, 인천 영화학교 등 기독교 계통학교의 교과서 및 성경 및 찬송가 그리고 언더우드 등과 함께 여러 신약성서를 출판하였는데 이것은 현대적인 인쇄와 출판물들이었다.
또한 아펜젤러 목사는 1890년에는 종로서점(鐘路書店)을 설치하였고 선교 및 교육 활동에만 치중한 것이 아니라 어지러운 현실에서 독립신문 발행 등을 통해 한국의 독립과 주체의식의 회복 그리고 근대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그는 한국에서 선교 활동 중 1902년 6월 첫 주일, 레이놀즈(W. D. Reynolds, 李訥瑞) 미 남장로회 선교사 주재 지역인 목포(木浦)에서 개최되는 성서번역위원회에 참석할 계획에 있었다. 그러나 이에 앞서 6월 1일 무어감독 등과 '무지내교회'를 방문하게 되었는데, 이때 경부선 철도건설 현장(시흥)을 통과하다가 이들을 러시아인으로 오인한 일본인 노무자들에 의해 마구 구타당한 사건이 발생했다. 그리고 이로 인한 재판의 증언 때문에 목포 출발이 지연되어 다른 선교사보다 늦게 구마가와마루(熊川丸) 배를 타고 가던 중 어청도(於靑島) 근처 해상에서 밤중의 짙은 안개로 인하여 기소가와마루(木曾川丸) 배와 정면충돌, 침몰되어 1902년 6월 11일 밤 순직(殉職)하였다. 아펜젤러 목사 선교사 외에 한국인 14명, 일본인 4명, 선원 4명도 실종되었다. 이때 유일한 생존자는 보올비(J. F. Bowlby : 미국 인디애나로 돌아가던 운산광산 근로자)의 구술에 의거 그리피스는 아펜젤러의 전기를 저술했다. 그의 사후 그의 가문은 2대에 걸처 한국 선교에 헌신했다.
성서 번역에 공적이 큰 게일(James Scarth Gale, 奇一,1863~1937) 선교사는 아펜젤러 목사의 순직에 대하여 오리겐 교부의 말을 인용하여 '순교자의 피는 교회의 씨앗이다. 그는 그의 생명을 성경 번역을 위해서 바쳤다. 이제 우리는 그 일을 위해 온 힘을 다해 매진해야 할 것이다'라고 했다. 한편 그와 오랜 기간 한국에서 사역한 알렌은 다음과 같이 아펜젤러 목사를 회상하였다.
이러한 선교사를 나는 알고 있다. 그는 이 공동체에 줄 것을 가지고 있으며, 또 그것을 기꺼이 준다. 또한 그는 추방되지도 않을 것이며, 그의 동료들의 공감과 동포애를 잃지도 않을 것이다. 반대로 그는 이 작은 무리로부터 영접 받으며 그 한 구성원이 될 것이다. 그에게는 단지 다른 사람이 그에게 베풀어주는 친절을 얼마나 받아들일 것인가 만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정동제일감리교회는 그 설립자를 다음과 같이 기억하고 있다.
우리 나라 최초의 감리교 목사이자, 이 땅에 감리교 역사를 뿌리내린 아펜젤러목사는 지금으로부터 100여 년 전인 1895년 4월 5일 부활 주일 날 감리교의 스크랜튼 목사와 함께 조선이라는 조그만 나라에 도착하였다. 아펜젤러 목사는 1858년 미국 펜실베니아주에서 태어나 드류신학교를 졸업하고 선교사의 뜻을 품고 있던 중 미국 감리교 선교부로 부터 한국 선교사로 오게 된 것이다. 아펜젤러 목사 목사는 고종황제의 허락으로 이 곳에서 선교사업, 교육사업, 봉사활동 등 무수히 많은 일을 하였는데, 그 첫째가 한국 최초의 개신교 교회인 정동제일교회를 세우시고 이 땅에 기독교문화를 꽃피운 일이다.
아펜젤러 목사 목사는 최초의 감리교 모교회건물인 문화재예배당을 짓고 정동교회의 초대 목사가 되신 분으로 조선인의 민족 복음화에 한 평생 힘쓰셨으며, 한글 신약성서 번역작업을 통해 우리나라 성서보급에도 큰 일을 하였다. 그리고 교육사업을 통해 배재학당을 건립하고 민족의 지식사업에 열정을 다 하였다. 아펜젤러 목사가 목포에서 해난 충돌사고로 순직하기 전까지 그의 전 생애를 바쳐 한국에 준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배재학당과 정동제일감리교회, 그리고 한글 신약성서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는 진정 위대한 선교사요, 교육자요, 선각자로서 이 땅에 민족 복음화를 위해 죽는 날까지 몸 바쳤으며 그 공은 실로 위대하다 하겠다.
<저작권자 ⓒ 최재건의 역사탐방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배재학당, 정동감리교회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인물사 많이 본 기사
|